티스토리 뷰

공공임대주택을 찾고 있다면 ‘행복주택’이란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. 그런데 최근에는 ‘리츠 행복주택’이라는 단어도 자주 등장하죠. 이름은 비슷하지만, **두 주택은 분명한 차이점**이 있습니다.

 

 

💡 어떤 주택이 나에게 맞는지 알아야 당첨 가능성도 높아지고, 실수도 줄일 수 있어요!

 

 

두 주택의 핵심 차이점 비교

 

구분 행복주택 리츠 행복주택
공급 주체 LH 직접 건설 및 운영 LH + 민간(리츠회사) 공동
소유 구조 국가 또는 LH 소유 리츠(REITs) 법인이 소유
자금 구조 국비 및 기금 지원 중심 공공·민간 공동투자 (주택도시기금 출자)
임대 운영 LH가 직접 관리 리츠 위탁관리자(운영법인) 관리
임대 기간 계층별로 6년~20년 계층별로 10년~20년 (거의 동일)
임대료 수준 시세 60~80% 수준 유사 수준 (보증금·월세 전환 조정 가능)

 

 

리츠 행복주택, 왜 생겨났을까?

 

리츠(REITs) 주택은 **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주택을 빠르게 공급**하기 위한 모델입니다. 특히 수도권 청년·신혼부부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재정 부담 없이 공급 물량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.

📌 건설 자금은 주택도시기금이 출자하며, 수익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고려합니다.

 

 

입주자격은 같을까?

 

  • 무주택 세대
  • 청년, 신혼부부, 예비신혼, 한부모가족, 고령자, 주거급여 수급자 등
  • 소득·자산 기준 유사 (도시근로자 소득 100~120% 이하 등)

✔ 입주 자격 기준은 거의 동일하며, 리츠 방식이라 해서 불리하거나 까다로운 조건은 없습니다.

 

 

입주 시 주의해야 할 점

 

  • 📑 리츠 주택은 운영법인이 따로 있으므로, **임대계약 및 관리 방식이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.**
  • 💰 보증금 전환 시 **이율 조건, 월세 변동** 등을 꼼꼼히 확인하세요.
  • 📆 계약 기간 도중 퇴거나 계약 변경 시 조건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.

 

 

결론 – 어떤 주택이 나에게 유리할까?

 

  • ✔ **LH 행복주택**은 비교적 운영 안정성이 높고, 단지 규모가 큰 곳이 많습니다.
  • ✔ **리츠 행복주택**은 새로 지어진 신축이 많고,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.
  • ✔ 신청 조건은 비슷하므로 **청약 기회를 두 배로 활용하는 전략**도 유효합니다.

👉 LH 행복주택 청약 바로가기

 

 

함께보면 좋은 글 📘